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한때 KT 개인부문(옛 KTF)의 주력 상품이었던 2세대(2G) 이동통신 서비스가 KT의 '애물단지'로 전락했다. 수입은 보잘 것 없는데 비용은 계속 들고, 차세대 서비스 도입을 막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. 2G 서비스란 음성통화와 문자 메시지 기능만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. <BR><BR>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24일 KT의 2G 서비스 종료에 제동을 걸었다. 이용자가 81만명(5월 말 기준)이나 되는 데다, 서비스 종료를 알린 기간(3개월)이 너무 짧았다는 것이다. <BR><BR>KT는 지난 3월 주파수와 통신설비의 효율적인 사용을 이유로 2G 서비스를 이달 말에 끝내기로 했다. 휴대전화 통신망은 3세대(3G)를 지나 4세대(4G)로 접어들고 있다. <BR><BR>2G는 KT와 합병하기 전 KTF의 주력 상품이었으나 2007년 3세대(3G)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계속 가입자가 줄어들었다. 이제는 연간 700억원씩 유지비만 잡아먹고 있다. <BR><BR>KT 관계자는 "요금 체납자·장기 서비스 이용 유보자·통신망 점검용 회선 등을 빼면 진짜 2G를 쓰는 사람은 49만명밖에 안 된다"며 "최대한 빨리 이용자를 줄여 다음 달 중에 다시 2G 종료 신청을 하겠다"고 했다. <BR><BR>하지만 2000년 SK텔레콤이 아날로그 휴대전화 서비스를 끝낼 당시 남아 있던 이용자는 6만1000여명이었다. 2G 이용자가 49만명이라는 KT의 주장을 받아들여도 SK텔레콤 때보다 8배 많은 사람이 남아 있는 셈이다. <BR><BR>KT의 고위 관계자는 "유지비보다 4G 서비스가 늦어질 수 있는 것이 더 큰 문제"라고 했다. KT는 2G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비우고 그 주파수 대역에서 11월부터 4G를 서비스할 예정이지만, 2G 종료 시기가 불투명해지면서 이 계획도 흔들리게 됐다. SK텔레콤·LG유플러스 등 경쟁사는 다음 달부터 4G를 시작할 예정이다. <BR><BR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